요즘 부산 사람이라면 아마 동백전 다들 한 번씩은 들어봤을 것이다.
직접 사용해보니 혜택이 꽤나 쏠쏠한데 헷갈리는 부분들이 좀 있어서 정리해봤다.
<동백전에 관한 정보와 더 빨리 만들지 않은 것에 대한 후회기>
1. 동백전 만드는 방법
동백전 어플로 신청하거나 가까운 부산은행이나 국민은행에서 직접 발급 신청 가능하다. 은행에 가서 만들어도 재고가 없으면 그 자리에서 카드를 바로 받지 못할 수도 있다. 그러니까 그냥 집에서 어플로 만들자.
후불 교통카드 기능이 신청 가능하고, 은행은 부산은행이나 국민은행 아니라도 상관없다. 2~3일 내로 배송된다.
2. 동백전 사용 가능한 곳
부산시 내의 자영업장은 거의 모두 다 가능하다. 프랜차이즈 업종 가게들은 직영이 아니라 가맹점이라면 가능하다.
1)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하는 곳
- 편의점: gs, cu, 세븐일레븐, 미니스톱(편의점은 직영이 거의 없음. 웬만하면 다 됨)
- 배스킨라빈스, 투썸플레이스, 이디야 등 각종 프랜차이즈 카페 (스타벅스는 다 안됨)
- 올리브영 (올리브영은 되는 곳 안 되는 곳 반반 정도. 근데 의외로 많이 됨. 서면에 있는 큰 데 거기도 됨)
- 치킨: bbq, 교촌, bhc 등등
- 햄버거: 롯데리아, 맘스터치 등등 (맥도날도는 되는 곳 별로 없음ㅠ 버거킹은 몇 개 있음ㅠ)
- 빵집: 파리바게뜨, 뚜레쥬르
2) 의외로 사용 가능한 곳
- 병원, 약국: 병원비나 공적 마스크도 다 가능 (얼마 전에 사랑니 뽑고 캐시백 개이득)
- 배달음식+배달비: 어플로 배달시키고 만나서 카드결제하면 됨
- 주유소: 나는 뚜벅이지만, 차가 있는 사람들이 다 된다고 했음
3) 이건 왜 안돼?ㅠㅠ
- 버스, 지하철: 후불 교통카드 기능은 있지만 캐시백 안됩니다.
- 택시: 부산이 본사인 택시는 된다고 하는데(등대콜? 같은) 안 되는 택시가 더 많은 듯...
3. 동백전 사용 꿀팁
1) 삼성 페이, LG페이 가능
저는 원래 삼성 페이만 써서 지갑 안 들고 다니는 사람인데 동백전은 삼성페이 가능해서 너무 조아요.
2) 각종 할인 적립도 다 가능
파리바게뜨를 예로 들자면 통신사 할인받고 해피포인트 적립하고 동백전으로 결제해서 캐시백까지 가능.
이거 다 하면 왕뿌듯-★
3) 하나멤버스 포인트 적립
동백전이 하나카드라 하나멤버스 포인트가 자동으로 적립!
하나멤버스 포인트는 하나은행 계좌나 카드가 없어도 하나멤버스만 가입하면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.
4) 10% 캐시백은 4월까지, 하지만 그 이후에도 6% 캐시백!
부산시에서 코로나로 7월까지 10% 캐시백 연장을 고려했지만 사용자가 많이 늘어서 그런지 일단 4월까지로만 한다고 했다.
그러나 그 이후 6% 캐시백도 엄청난 거니 계속 써도 개이득
4. 동백전 사용 시 주의사항
- 충전금액이 모자라면 동백전이 지멋대로 연결된 계좌에서 돈을 빼가서 결제해버린다. 그리고 심지어 이렇게 결제된 금액은 캐시백이 안된다.ㅂㄷㅂㄷ 이 무슨... 돈이 없으면 결제하지 말아야지! 아무튼 이래서 손해를 보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항상 잔고를 확인합시다.
-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동백전 카드를 신청하면 갑자기 신용등급 점수가 내려간다. 처음에 그래서 너무 깜짝 놀랐다.
교통카드 발급때문에 뭐 은행에서 확인하다고 그래서 그런 거라고 하는데... 잘 모르겠다.
하지만 한달 있으니까 원래대로 돌아왔다. 너무 걱정하지 마시길.
5. 개인적으로 아쉬운 점
뱅크샐러드로 소비를 항상 확인하는 편인데 동백전은 뱅크샐러드에서 확인이 안 된다ㅠㅠ
물론 한 달에 한 번씩 카드 명세서는 메일이나 어플로 받아볼 수 있긴 하다.
6. 총평
사용처가 아주 다양하고 캐시백이 아주 쏠쏠하다.
할인에 적립에 캐시백까지 받으면 짜릿하다.
캐시백이 결제와 함께 바로 들어온다.
대신 캐시백이 눈에 바로 보이니 소비를 촉진시키는 경향이 있다.
이쁘다. 지역화폐인데 디자인도 이름도 이쁘다.
더 빨리 만들 걸.
'전:錢(money for living) > 나랏돈 챙기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후동행카드, 알뜰교통카트 안녕! K-패스 총정리! (0) | 2024.07.08 |
---|---|
자취방 전기세 2700원 덜 내는 법 (0) | 2023.02.07 |
긴급재난지원금 선불카드 사용처& 남은 금액 확인하는 법 (0) | 2020.05.11 |
5월부터 바뀌는 동백전 캐시백을 알아보자 (0) | 2020.05.09 |
긴급재난지원금을 받아보자 (0) | 2020.05.07 |